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연직 편차와수직선 편차

by choies4444 2023. 3. 24.

연직 편차와 수직선 편차

중력퍼텐셜이 일정한 값을 갖는 등 퍼텐셜이면 중 지구의 형상과 가까운 것을 지오이드라 하며, 이들 등 퍼텐셜 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중력 방향으로 연직선이라 하고 지구의 질량 분포에 관계없이 매끈한 곡선을 이루는 지구타원체의 법 선을 수직선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연직선과 수직선은 지구타원체와 지오이드의 차이로 인해 일치하지 않으며 그 편차를 지오이드 기준시 수직선 편차, 타원체 기준시 연직선 편차라 하는데 그 차이가 미소하여 일반적으로 연직선 편차로 사용한다.

연직선 편차

연직선 편차(Vertical deflection)는 지구의 등 중력 면과 수직으로 세워진 연직선 사이의 각도 차이를 의미합니다. 즉, 등 중력 면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연직선이 얼마나 빗나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는 지구의 중력장이 부분적으로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어서 발생합니다.

수직선 편차

수직선 편차(Latitude deflection)는 지구의 등위 선과 수직으로 세워진 수직선 사이의 각도 차이를 의미합니다. 즉, 등 위선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수직선이 얼마나 빗나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역시 지구의 중력장이 부분적으로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어서 발생합니다.

연직선 편차의 특징

연직선 편차(Vertical deflection)는 지구의 중력장이 부분적으로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어서 발생하는 값으로, 지구의 등 중력 면과 수직으로 세워진 연직선 사이의 각도 차이를 의미합니다. 연직선 편차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역적 차이: 지구의 중력장이 지역적으로 불균일하기 때문에, 연직선 편차도 지역에 따라서 차이가 발생합니다. 즉, 같은 지역이라 하더라도 위치에 따라서 연직선 편차가 다를 수 있습니다.

높이에 따른 변화: 연직선 편차는 높이에 따라서도 변화합니다. 즉, 같은 지점이라 하더라도 높이가 다르면 연직선 편차가 다를 수 있습니다.

대기 상태에 따른 변화: 대기의 밀도, 온도, 습도 등에 따라서도 연직선 편차가 변화합니다. 특히 대기의 밀도가 변화하는 경우, 연직선 편차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중력장 변화에 따른 변화: 지구의 중력장이 변화하는 경우, 연직선 편차도 변화합니다. 이는 지진 등 지구 내부의 변화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연직선 편차는 지구의 중력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파라미터이지만, 다양한 변수에 의해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확한 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보정작업이 필요합니다.

우리나라 연직선 편차 분포

우리나라의 연직선 편차 분포는 지역에 따라서 차이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한반도 중부 지역에서는 연직선 편차가 낮고, 동쪽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에 서쪽 지역에서는 연직선 편차가 높고, 서남쪽 지역에서는 가장 비싼 값을 보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6년부터 2019년까지 4년간 KMA(기상청)에서 관측한 연직선 편차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역별 연직선 편차 분포를 조사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서남쪽 지역인 제주도와 그 주변 지역에서는 평균 1.8 arc sec 정도의 낮은 연직선 편차를 보입니다. 전국적으로는 평균 1.0 arc sec 정도의 연직선 편차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연직선 편차 분포는 지구의 중력장 분포와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연구 결과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